한국의 아름다운 산하/한국 100대 명산 완등기록

눈빨 날리는 가리산 정상 (100대 명산)

케이와이지 2020. 12. 31. 17:09

산이름 : 가리산 ( 1,051m )

산위치 : 강원도 홍천군 주촌면

산행일자 : 20091129

교통편 : 42인승 버스대절

 

 

가리산 정상

 

 

산행코스 : 매표소 - 무쇠말재 - 정상 -

                가삽고개 - 매표소

가리산 개념도

 

가리산은 강원 제1의 전망대로 할 만큼 정상에 오르면 시야가 확 트여 홍천과 소양강은 물론 백두대간 등 강원 내륙의 고산준령이 한눈에 보인다.

 

능선은 완만한 편이나 정상 일대는 좁은 협곡을 사이에 둔 3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연휴양림도 조성되어 있어 한국 100대 명산에 선정되었다.

 

 

가리산 정상이 보이기 시작한다

 

무쇠말재에서 잠시 휴식

 

가리산 휴양림이 보이고

 

소양호도 보인다

 

산 이름의 가리는 단으로 묶은 곡식이나 땔감 따위를 차곡차곡 쌓아둔 큰 더미를 뜻하는 순우리말로서 산봉우리가 노적가리처럼 고깔 모양으로 생긴 데서 유래된다.

 

산 정상과 계곡에는 향토 수종인 참나무가 주종을 이루지만 아래쪽에는 두릅나무 등 관목류도 많으며 강원도에서 진달래가 가장 많이 핀 산으로도 유명하다.

 

 

하산길 가삽고개

 

가리산은 홍천군과 춘천, 인제를 삼각으로 이어주는 전략적인 요충지로서 실제로 한국전쟁 때 한국 해병대 1연대가 통칭 가리산공격작전을 성공시킨 전투로 유명하다.

 

 

가리산전투전적비

 

가리산 전투

한국전쟁 때 유엔군과 국군이 서울을 재탈환하고 북진을 하고 있을 때 가리산  (1,051고지로 표현)에 주둔하고 있던 북한군 제 6사단 본부는 미처 북으로 후퇴를 하지 못하고 가리산에 방어망을 치고 있었는데 병력은 1,500정도였다.

 

북한군은 1,051고지를 빼앗기면 막대한 위협을 받기 때문에 전력을 다해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었다.

 

1951319일에 한국 해병대 1연대는 미해병대의 지원을 받으며 가리산공격작전을 세우고 가리산으로 침투를 감행하기 위하여 구성포리에 집결하여 320총공격을 하여 324일  1,051고지(가리산)를 완전히 점령하였다.

 

우리나라 해병대는 통영상륙작전, 마산진동리전투, 도솔산전투에 이어 커다란 쾌거를 이루었다.

 

북한군 6사단의 기동은 이제까지의 한국전쟁을 통해 가장 훌륭한 부대였다.”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에 기록되어 있다.

 

전투경험 및 훈련정도 측면에서 뛰어난 북한군 6사단은 1942년 일본 관동군에서 달아난 한국인들로 편성된 중국 공산당 팔로군 아래에 있는 동북의용군 제166사단을 전환하여 만든 사단이다.

 

이 사단은 일본군과 장개석의 국민당과 싸운 전투경험이 풍부하였으며 이후 중국의 .공내전이 끝날 무렵인 19497월에 북한군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신의주로 이동시켰다.

 

그곳에서 사단 명칭을 6사단으로 바꾸고 이듬해의 남침을 비밀리에 준비하고 있었다사단장은 방호산이었다.

 

북한군의 최강사단이 6사단이라면 국군에도 6사단이 최강사단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한국전쟁이6월에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6이란 숫자의 공교로움을 가리산 산행에서 찾아낼 수 있다.

 

사단장 김종오 대령이 이끄는국군 6사단은 1950625일 물밀듯이 내려온 북한군 2사단에 큰 피해를 입히며 6일 동안 남하를 지연시켜 서부쪽으로 남하한 북한군 1군단의 전략에 막대한  지장을 주었다. 이른바 국군 6사단의 춘천.홍천전투를 말한다.

 

이미 북한군 1군단은 서울을 점령하고 계속 남하할 예정이었으나 뜻밖의  2사단의 지체로 서울에서 3일 동안 지체할 수 밖에 없었다. 만약 북한 1군단이 서울을 점령하고 지체없이 남하하였다면 낙동강전선이 형성되지 않고 부산까지 위험한 끔직한 상황이 벌어졌을 수도 있었다그래서 한국전쟁을 이야기할 땐 청성부대인 국군 6사단을 빼놓을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북한군 1군단의 서울 3일 지체의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은 팽팽하게 맞서있다소련이 북한군에 무기 지원을 하지 않은 전략적인 계산이 깔려있다는 분석도 있기 때문이다.

 

 

                        KYJ